지난번에 레드마인 플러그인 설치하기에 이어서 레드마인 테마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사용자들이 많이 추천하고 있는 Circle Theme 를 적용할 예정입니다. 테마 다운로드를 위하여 아래 링크로 이동합니다. https://www.redmineup.com/pages/themes/circle 1. 테마 다운로드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하고 다운로드 링크를 수신할 메일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수신함을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테마 다운로드 링크가 포함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FTP 를 통한 파일 전송 파일 다운로드가 완료 되었으면 압축을 해제 한후 서버에 접속하여 아래 경로에 파일을 복사합니다. /usr/share/redmine/public/themes/ 3. 서버 확인 및 서비스 재시작 서버에 SSH 접속 후 아래 경로와 같이 파일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 합니다. /usr/share/redmine/public/themes/circle/stylesheets/application.css 4. 아파치 서비스 재시작 테마 적용을 위해 레드마인 서비스를 재시작 합니다. # service apache2 restart 5. 테마 적용 레드마인에 로그인 후 테마 설정을 변경 합니다. 설정 – 표시방식-테마 항목에서 Circle 테마를 선택합니다. 테마 적용 화면 입니다. 기존 테마에 비해 글자 크기가 증가 되어 가독성이 많이 좋아진 느낌 입니다. 이상으로 테마 설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휴가철 빈집털이 예방을 위한 IoT 전등(1/2) 7말 8초 휴가철 입니다. 장기간 집을 비울 때 어디에서나 우리집의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는 IoT(좀 거창한가..) 프로젝트를 소개해 드립니다. 총 2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 편에서는 전체적인 계획과 H/W 구성을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파이썬으로 간단한 웹 서비스를 만드는걸 진행 하겠습니다. 주의 : 220v 전기를 건드려야 합니다. 감전 위험이 높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기 작업시 꼭 연결된 배전함의 스위치를 내려 전류를 끊고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릴레이의 경우 감전과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주의 바랍니다. 계획 우리의 목표는 벽에 있는 전등 스위치를 인터넷을 통해 켜고 끄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가능한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 비슷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기계를 파는것도 본것 같네요. IoT 기능이 내장된 전등 스위치도 아마 있을 것입니다. 직접 만든다고 해도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스위치를 눌러 켜고 끄는 기계를 레고로 만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또는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터인 서보 모터 를 사용해 기계적으로 스위치를 누르게 만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벽에 구멍을 내지 말라는 요청을 받아서.. 그리고 움직이는 기계는 아무래도 복잡하더라구요. 가장 간단하고 직접적인 방법인 전기적 스위치 즉, 릴레이를 이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전등 연결 - 전등 스위치에서 전선을 분리. 스위치 - 전기적 스위치 역할을 하는 릴레이 를 사용. 컨트롤러 -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릴레이(스위치)에 신호를 주거나 끊습니다. 웹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으므로 라즈베리파이 가 적절해 보입니다. 프로그래밍 - 라즈베리파이 + 웹 서비스를 구현하기 쉬운 파이썬을 선택하였습니다. Tip. 컴퓨터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로 돌아가지만 프로그래머에게 전기와 회로는 낯선 존재인 것 같습니다. 논리가...
안녕하세요 남산도서관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Auto Scaling 이벤트 및 정책을 설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포스팅 - [NCP] 탄력적 서버 확장을 위한 오토스케일링 구성하기 (1) 1. Auto Scaling Group 설정 우선 Auto Scaling 메뉴에서 Auto Scaling Group 을 선택하여 설정 화면에 진입한 후 [Auto Scaling Group 생성] 버튼을 선택합니다 Launch Configuration 선택 화면이 표시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생성했던 항목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은 그룹설정 단계 입니다. Auto Scaling Group 이름을 설정한 후 항목을 입력해 줍니다. <필수> - Auto Scaling Group 이름 : 원하는 이름을 입력합니다. - 최소용량 : 트래픽 감소에 따른 서버 축소 시 최소 인스턴스 유지 수량입니다. (최소용량 이하로는 인스턴스가 줄어 들지 않습니다) - 최대용량 : 트래픽 증가에 따라 서버 증설 시 최대 인스턴스 수량입니다. (트래픽이 아무리 늘어나도 최대용량 이상 서버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선택> - 기대용량 : 그룹 생성 시 최초로 만들어질 인스턴스 수량입니다. (이후에는 정책에 따라 자동 관리 됩니다) 정보 입력이 완료 되면 [다음] 버튼을 선택합니다. 다음은 서버가 증가/감소 할 수 있도록 정책을 설정합니다. [정책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설정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이벤트 설정은 이후 프로세스에서 별도로 진행 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이벤트 발생 시 서버를 몇 대 증가/감소 시킬지에 대한 정책만 설정합니다. 항목 입력이 완료 되면 [다음] 을 선택합니다. 이제 Auto Scaling 정책이 실행되...
문화체육행사_포스터 이번 포스팅으로는 행사라던지 일정표 등 여러가지 인쇄물 제작을 할 때의 디자인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려고 합니다 ㅎㅎ 인쇄물 포토샵 세팅 해상도 (Resolution) 300 dpi 로 잡아줍니다. 안그러면 해상도가 낮아서 깨져 보여요. (보통 웹 작업을 할 경우 72dpi 로 잡혀 있음) 색상 (Color Mode) 인쇄물이므로 RGB 컬러가 아닌 CMYK 아시겠지만 RGB와 CMYK 색상은 차이가 많이 나니까 미리 잘 세팅하셔서 나중에 작업 다 끝내놓고 인쇄 직전에 멘붕에 빠지지 않으시기를..^^ <-경험자 일러스트레이터로 작업하실 경우는 컬러모드나 해상도 등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인쇄물은 되도록 일러로 작업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 현수막 만들기 체육행사_현수막 사이즈 보통 만들고자 하는 크기가 m 단위인데요 만들려고 하는 크기의 10분의 1정도 사이즈로 작업을 합니다. 예를들어 6m x 1m 사이즈의 현수막을 만든다고 하면 포토샵/일러로는 60cm x 10cm 로 제작을 합니다. 실물 크기로 만들 경우 컴퓨터의 성능이 엄청나지 않은 이상 작업에 무리가 있고, 10분의 1 사이즈로 제작해서 인쇄해도 괜찮아요~ 현수막은 처음부터 사이즈를 확정하고 작업하셔야 수정할 일이 덜 생깁니다.^^ 보통은 강당이나 어느 특정 장소에 걸어야 하기 때문에 사이즈가 제한적일거고, 그걸 미리 잘 알아두시고 작업하셔야 기껏 작업한 디자인을 버리는 일이 생기지 않아요^^ 2. 명찰 만들기 사이즈 실제 사이즈대로 만들되 명찰 사이즈보다 조금 더 작게 만들어 인쇄해야 나중에 명찰에 끼워넣을 때 고생하지 않아요^^ 3. 명함 이번에 아이프렌즈펫에서 명함 사이즈의 홍보카드를 만들었는데요, 작은 사이즈이지만 의외로 까다로워서 처음 제작단계부터 인쇄업체와 대화를 많이 하시는게 좋은 것 같구요 (아...
무더운 여름 냥이에게 물 많이 마시게 하는 방법!! * 이 카드는 위키하우 글 "고양이 물 많이 마시게 하는 방법"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다양한 그릇과 접시를 사용해보기!! 스테인리스, 일반 세라믹, 또는 프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그릇이나 접시를 선호 할 수 도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를 꺼내놓고 고양이가 어떤 것을 더 마음에 들어하는지 살펴본다. 집안 곳곳에 물 그릇을 두기!! 개수대, 부엌 조리대, 침대, 화장실 근처나 집안 구석구석에 물그릇을 둔다. 집안을 돌아다니도록 해주고 고양이에게 물을 마셔야겠다는 생각이 들도록 해 줄 것이다. 그릇과 물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그릇을 비누와 물로 이틀에 한 번씩 닦아주고 헹굴 때 주의하도록 한다. 일주일에 한번은 물그릇을 식기 세척기에 씻거나 뜨거운 물로 살균한다. 수돗물을 틀어 놓기!! 물을 절약하는 방법은 아니지만, 흐르는 수돗물을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고양이는 흐르는 물을 보고 신이 나고 호기심이 생겨서 물을 하시려고 할 수도 있다. 분수대를 사용하기!! 흐르는 물을 좋아한다면 분수대를 구매한다. 온종일 분수대에서 물이 흘러 물을 더 즐겁게 마실 수 있다. 분수대를 쳐다 보고 놀며 물을 마시는 것을 좋아할 수도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