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남산돈가스입니다. AWS Lambda - API Gateway로 S3 파일 업로드 API 만들기 #1 , #2 에 이어 마지막 시간인 API Gateway - Lambda 연결 및 테스트가 남았습니다. 지난 포스팅까지 Lambda를 이용해 업로드 함수를 생성했고, API Gateway와 S3 기본설정을 통해 S3 파일 업로드 기능의 기본설정을 마무리했습니다. 오늘은 이 두 설정들을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S3 업로드 Micro Service를 완성하겠습니다. 먼저 지난 포스팅에서 API Gateway를 생성했고, uploader라는 리소스까지 생성했습니다. 이번엔 이 uploader라는 리소스에 POST 매서드를 추가하고 작성했던 Lambda Function을 설정합니다. 통합 유형 - Lambda 함수 Lambda 리전 - 'Lambda함수를 생성한 리전' Lambda 함수 - '작성한 Lambda 함수명(리전 선택 시 자동완성으로 검색 가능)' 위와 같이 설정한 뒤 저장을 선택합니다. 저장을 선택 시 다음과 같이 uploader라는 리소스 밑에 post 매서드가 생성 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우측 상단의 통합 요청을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 하단의 본문 매핑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요청 본문 패스스루에서 '정의된 템플릿이 없는 경우'를 체크하고 Content-Type에 매핑 템플릿 추가하여 multipart/form-data 을 추가하고 '템플릿 생성'에서 매서드 요청 패스스루를 클릭하시고 아래와 같은 패스스루가 나온 것을 확인하셨으면 저장을 누릅니다. 여기까지 설정을 완료하셨다면, API Gateway와 Lambda Function의 연결이 모두 완료 된 것입니다. 이제 실제 이 API Gateway를 배포하여 엔드포인트를 발급받고 실제 업로드가 되는지 ...
*아이프렌즈펫 앱 디자인 가이드 경험을 공유합니다. 이게 처음 작업한 앱 디자인 가이드라서 미흡한 점이 많을 수도 있는데 문제가 있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 *아이폰 앱 가이드 작업의 특징 디자인 가이드 작업은 기준 해상도 하나를 정해서 그 수치값으로, 이미지 작업은 고객/개발자와 협의한 모든 해상도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작업하면 됩니다. 아이폰 해상도를 먼저 보면 이미지 출처: http://protosketch.io/exporting-assets-for-ios-ipads-and-iphones/ 위에 point 가 실제 폰에서의 크기라면 render at 사이즈는 디자이너가 포토샵에서 작업해야 할 픽셀 단위 사이즈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이프렌즈펫은 일단 기준 해상도를 iPhone6 으로 잡고 가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포토샵에서 작업할때는 750 x 1334 사이즈로 작업해서 해당 작업물로 좌표값, 크기 등을 계산해서 개발자님께 넘겼구요 만약 iPhone5 를 기준 해상도로 잡았다면 640 x 1136 을 기준으로 포토샵 화면 작업을 해서 넘기시면 됩니다. 그러면 개발자는 디자이너가 계산해 넘긴 수치값의 1/2 을 곱하거나 1.5 배 하는 등 계산을 해서 작업을 하게 됩니다. XCode 에서의 작업 화면 만약 750 기준으로 작업을 해서 드리면 1/2 값을 저기에 입력하는 식으로 작업합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포토샵에서 드리는 수치가 최종값이 아니기 때문에 가급적 모든 수치가 짝수가 되고 , 맞아 떨어지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개발자가 나누고 곱해도 소수점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아이프렌즈펫 작업을 할때는 한 이미지로 여러 해상도를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가급적 6의 배수 로 크기를 계산한 작업물을 드렸습니다. *좌표 절대적인 건 아니고.. 대략 저런 기준으로 잡아서 작업하시면 됩니다 ^^ 아이폰은 절대 좌표 로 작업합니다. 그러니까 상단 Status ...
네이버 SENS API 를 활용한 SMS 발송 서비스 개발 진행 시 휴대전화 번호를 발신번호를 등록하고자 한다면 휴대폰 본인인증 서비스를 활용하면 됩니다. 핸드폰 본인인증을 통한 SMS 발신번호 등록 하지만 법인 서비스의 경우 회사 대표번호 등록을 통해 서비스를 구현해야 하는데 발신번호 사전등록제* 로 인해 별도의 인증절차가 추가로 필요하게 됩니다. 발신번호 사전등록제 시행 안내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라 2015년 10월 16일부터 발신번호 사전등록제 가 시행되었습니다. 발신번호 사전등록제는 전기 통신사업법 제 84조에 의거 거짓으로 표시된 전화번호로 인한 이용자 피해 예방을 위해서 이용고객이 사전등록된 발신번호로만 문자발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발신번호는 반드시 기업 또는 본인이 소유한 번호로 등록해야 하며, KISA가 발신번호 변조 의심으로 소명자료를 요청할 경우, 3일 이내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휴대푠 인증과 달리 서류인증으로 진행하게 되는데요 이때, 서류인증을 위해 필요한 문서가 바로 통신서비스 이용증명원* 입니다. * 통신서비스 이용증명원이란? 전기통신사업자가 이용자 본인이 사용하는 전화번호임을 증명하기 위해 발급하는 서류입니다. 가입자의 통신사명, 가입자의 성명/주소/생년월일(기업회원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가입자 통신 서비스 종류(유선, 무선, 인터넷 전화 등) 및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어야하며, 등록 신청일 기준으로 3개월 이내에 발급된 서류여야만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가입한 통신사 고객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사업자의 경우 통신사의 고객센터로 전화하여 상담원게 서류를 요청하거나 지점을 방문하여 이용증명원을 발급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주요 통신사> <서비스 가입 확인서 예시> 통신서비스 이용증명원 발급이 완료되었다면 SENS SMS 발송 메뉴의 발신번호 등록 - 서류인증 ...
Apache Tomcat 을 기반의 웹서버를 구성하고 AWS ELB(Elastic load Balancer) 를 활용하여 Multi-AZ(Available Zone) Instance 이중화를 구성하였습니다. 그런데 웹서버에 접속후 로그인 세션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원인은 ELB 는 트래픽 분산방식이 기본적으로 RoundRobin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세션이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이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ELB는 Sticky Session 기능을 적용합니다. 최초에 ELB 구성시 Sticky Session 은 Disabe 상태입니다. 확인을 위해 AWS 콘솔에 접속하여 EC2 DashBoard - Loadbalancer 항목으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Description 탭에 PortConfigration 항목에 설정에서 변경을 원하는 Port 구성에 Edit stickiness 를 선택합니다. Enable Load Balancer Generated Cookie Stickines 를 선택합니다. Expiration Period 에 세션이 유지될 시간을 "초" 단위로 입력해 줍니다. 이제 ELB 에서 생성한 쿠키를 사용하여 해당 시간동안 ELB 에서는 동일한 서버로 트래픽을 연결하여 세션을 유지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ELB 를 통한 세션 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ELB 에서 생성한 Cookie 대신 웹 Application에서 직접 Cookie 를 생성하고 세션을 관리 할수도 있습니다. Enable Application Generated Cookie Stickiness 를 선택하면 웹서버에서 생성한 쿠키를 사용하여 세션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때는 Cookie Name 에 웹서버에서 생성한 Cookie Name 을 입력해 주면 됩니다. AWS Console 을 통하...
*이 문서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앱 디자인을 처음으로 시작하면서 많은 자료를 웹에서 찾았는데요, 이미 많이들 아시겠지만 유용한 사이트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Behance [UI, BI, App, Web] https://www.behance.net/ 디자이너들 사이에 가장 유명한 포트폴리오 사이트이지요? ㅎㅎ 지인의 지인이 심플한 아이콘 디자인을 이곳에 올렸다가 애플 본사에서 연락이 와서 채용되었다는 깜짝 놀랄 소식도 들은 적 있습니다. ㅎㅎ 그만큼 디자이너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어필할 수 있는 공간이고 퀄리티 높은 작업물들이 아주 많구요. Adobe ID로 로그인해서 마음에 드는 포트폴리오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Dribble [인터랙션, 모션, 컬러] https://dribbble.com/ 목록에서 보고 싶은 디자인 작업물을 선택한 뒤, 오른쪽에서 원하는 컬러를 선택하면 해당 컬러톤의 디자인 작업물을 찾아줍니다. 원하는 컬러 톤 벤치를 할 때 유용하구요. [1] 원하는 컬러 선택 [2] 선택한 컬러 톤의 디자인 보여줌 또 한가지 강점은 상단 메뉴에 Shots > AnimatedGIFs 를 누르면 인터랙션 GIF 들이 나오는데 꽤 퀄리티가 높습니다. 인터랙션을 벤치마킹할 때 유용합니다. 각종 인터랙션 GIF 그밖에 Dribble 만큼 컬러 톤 벤치하기에 유용한 사이트는 https://brandcolors.net/ 온갖 브랜드의 메인 컬러를 한눈에 보고, 간단한 클릭만으로 색상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Adobe Kuler 가 있습니다. https://color.adobe.com/ko/create/color-wheel/ 원하는 색상 조합을 만들어서 공유할 수도 있고, 타인이 올린 색상조합을 저장해서 Photoshop 에서 Color Themes 를 꺼내 사용할 수도 있는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ht...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