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MySQL DB 작업 완료 후 DB 시간이 UTC 로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KST 로 표시 되도록 변경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DB 접속에 접속 합니다. DB 의 Time Zone 설정이 되어 있는지 아래와 같이 확인 합니다. Time Zone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 mysql> select count(*) from mysql.time_zone; Time Zone 설정을 위해 리눅스 환경으로 돌아와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 mysql_tzinfo_to_sql /usr/share/zoneinfo | mysql -u root -p mysql 다시 DB 로 접속 합니다. DB Time Zone 정보를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표출 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Time Zone 정보가 SYSTEM 으로 표시되네요 mysql> SELECT @@global.time_zone, @@session.time_zone; 이제 Time_Zone 정보를 Seoul 기준으로 변경해 줍니다. mysql> SET GLOBAL time_zone='Asia/Seoul'; mysql> SET time_zone = 'Asia/Seoul'; 정상적으로 변경이 완료 되었는지 다시 Time Zone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mysql> SELECT @@global.time_zone, @@session.time_zone; 정상적으로 변경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DB 내 시간정보를 확인해 보면 로컬 시간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ysql> SELECT NOW(); 아래와 같이 Time Zone 정보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보면 정상 적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mysql> select @...
지난번에 레드마인 플러그인 설치하기에 이어서 레드마인 테마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사용자들이 많이 추천하고 있는 Circle Theme 를 적용할 예정입니다. 테마 다운로드를 위하여 아래 링크로 이동합니다. https://www.redmineup.com/pages/themes/circle 1. 테마 다운로드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하고 다운로드 링크를 수신할 메일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메일 수신함을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테마 다운로드 링크가 포함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FTP 를 통한 파일 전송 파일 다운로드가 완료 되었으면 압축을 해제 한후 서버에 접속하여 아래 경로에 파일을 복사합니다. /usr/share/redmine/public/themes/ 3. 서버 확인 및 서비스 재시작 서버에 SSH 접속 후 아래 경로와 같이 파일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 합니다. /usr/share/redmine/public/themes/circle/stylesheets/application.css 4. 아파치 서비스 재시작 테마 적용을 위해 레드마인 서비스를 재시작 합니다. # service apache2 restart 5. 테마 적용 레드마인에 로그인 후 테마 설정을 변경 합니다. 설정 – 표시방식-테마 항목에서 Circle 테마를 선택합니다. 테마 적용 화면 입니다. 기존 테마에 비해 글자 크기가 증가 되어 가독성이 많이 좋아진 느낌 입니다. 이상으로 테마 설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Ubuntu 서버의 최신 Kernel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난 포스팅 보러가기 그런데 몇개의 인스턴스를 업데이트를 진행 하다보니 Kernel 업데이트 도중 DISK 저장공간 부족으로 인해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실제 디스크 용량은 충분 하여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 보니 inode 가 100% 사용 중이었습니다. $ df -i cs 검색해 보니 inode 확보를 위해서 이전커널 데이터를 삭제해야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usr/src 폴더로 이동해 커널 정보를 확인해 보면 이전버전의 커널 데이터가 버전별로 줄지어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이전버전 커널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autoremove cs 디스크 용량을 2,022 MB 확보할수 있다는 메시지가 표출 됩니다. "Y" 를 입력하고 넘어갑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표출됩니다. /usr/src 폴더의 파일을 확인해보면 최신 버전 이외에는 모두 삭제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시 inode 정보를 확인해 보면 가용영역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오래된 커널 파일 삭제하기> $ sudo apt autoremove cs 명령어 실행시 " apt-get –f install " 작업이 필요...
이 강아지가 몸을 터는 이유는? 1. 목욕해서 2. 그만 놀고 싶어서 3. 기분전환 4. 주인이 안놀아줘서 스트레스 *이 카드뉴스는 http://bit.ly/2vk8tqg 글을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시바견을 입양했는데 개 대신 드릴이 왔어 Dolan 씨의 시바견이 왜 몸을 터는지는 모르지만...(드릴의 후예) 일반적인 강아지들이 몸을 터는 이유는 4가지 모두 정답입니다! - 목욕해서, 기분전환, 거부 의사 표현, 스트레스 드릴이 안멈춰. 이거 어떻게 끔? 강아지들이 몸을 터는 이유 알아보러 가기 강아지가 몸을 터는 이유 1 몸에 묻은 물기 제거 미국 조지아공대에서 '동물의 몸털기'분석을 했는데 강아지는 4초만에 몸에 묻어 있는 물기의 70%를 제거했다고 합니다. 몸에 물기가 있을 경우 행동이 느려지고 저체온증을 유발하여 생존에 위협이 되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몸에 묻은 물을 털어내는 것이죠 강아지가 몸을 터는 이유 2 스트레스를 떨쳐냄 물기가 없는데도 몸을 터는 강아지들도 있습니다. 상대를 공격할 뜻이 없으며 같이 놀자는 표현이기도 하며 성견일 경우에는 자신을 향해 가까이 다가오는 동물이나 사람에 대해서 불편을 느낄 때에도 자신의 몸을 턴다고 합니다. 또는 지금 상황에 스트레스를 받거나 흥분했을 때 긴장을 푸는 행동입니다. 강아지가 몸을 터는 이유 3 자신을 진정시키고, 긴장 이완 산책 도중에 몸을 심하게 터는 강아지들도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바깥세상, 낯선 사람들과 소리 등으로 인해 자신을 진정시키고 긴장을 이완하려고 몸을 터는 것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산책하는 경로와 시간을 변경해주어서 한적하고 안전하게 느껴지는 곳에서 산책을 시켜주세요 강아지가 몸을 터는 이유 4 '이제 그만 놀고 싶어요' 신나게 놀던 강아지가 갑자기 서서 몸을 터는 경우도 있는데 이제 그만 놀자고 말하는 신호에요. 또는 낯선 사람의 손길이 닿았을 ...
ios9 부터 기존 UIWebView 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는 WKWebView를 지원합니다. UIWebView로는 하이브리드 앱과 연동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사항이 있어, WKWebView를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았습니다. 아래는 WKWebView에 장점과 문제점입니다. 참고해주세요. *참고 링크 http://docs.kioskproapp.com/article/840-wkwebview-supported-features-known-issues * 장점 - 앱의 기본 프로세스 외부에서 실행됩니다. - 더 빠른 자바 스크립트 엔진 인 Nitro 사용합니다. - JavaScript를 비동기 적으로 처리합니다. - 특정 터치 지연을 제거합니다. - 서버 측 인증 과제 지원합니다. - 오류가있는 자체 서명 보안 인증서 및 인증서 인증 지원합니다. * 문제점 - iOS 9 이상 필요 합니다. - 로컬로 저장된 파일에 대한 AJAX 요청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쿠키 허용'설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고급 캐시 설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앱 종료시 HTML5 로컬 스토리지가 지워짐 - WebKit 요청 로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예상대로 스크린 샷을 캡처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1. WKWebView는 #import <WebKit/WebKit.h> 를 따로 임포트 해줘야합니다. 2. WKWebView 생성과 호출이 UIWebView와 유사하지만, 델리게이트 부분에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self.webView = [[WKWebView alloc] initWithFrame:CGRectMake(0, 0, self.view.frame.size.width, self.view.frame.size.height];...
댓글
댓글 쓰기